크론병이란? 소화관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하며, 병적인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문드문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병적인 변화가 회장과 맹장에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40~60%로 가장 흔하고, 소장에만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30%, 대장에만 발병하는 경우가 10~25%를 차지합니다. 크론병의 원인 현재까지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환경적 요인,..
메니에르병 원인 원인 메니에르병은 아직까지 병리와 생리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내림프액의 흡수 장애로 내림프 수종이 생겨 발병하기도 하고, 알레르기가 원인이 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내림프 수종은 유병률이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높아지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되는 양상, 그리고 양측성으로 재발하는 특성 등이 관찰됩니다. 따라서 내림프 수종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기전으로 자가 면역 질환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메니에르병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인체 백혈구 항원에는 B8/DR3와 Cw7이 있고, 또한 내이 단백 항원 중 제2형 교원질(type Ⅱ collagen)에 대한 자가면역 항체가 증가되어 있는 현상이 메니에르병에서 관찰됩니다. 그 외에 메니에르병 증상 발작과 과로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관..
햄버거병이란 단기간에 신장을 망가뜨리는 희귀 질환. 정식 명칭은 "용혈성요독증후군"입니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일종으로 신장이 불순물을 제대로 걸러주지 못해 체내에 쌓이면서 발생하게 된다. "햄버거병"이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진것은 1982년 미국에서 덜 익힌 패티가 들어간 햄버거를 먹고 이 병에 걸렸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붙은 것입니다. 의료계에 따르면 HUS는 고기를 잘 익히지 않고 먹거나, 살균되지 않은 우유 또는 오염된 야채 등을 섭취하면 걸릴 수 있습니다. HUS에 걸리게 되면 몸이 붓거나, 혈압이 높아지기도 하며 경련이나 혼수 등의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HUS는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장 기능이 크게 망가지거나, 용혈성빈혈·혈소판감소증과 같은 합병증에 시달릴 수 있습니..
갑상선이란 목 앞부분에 위치하는 내분비 기관으로 뇌에 있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일을 하는 기관입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증상 성인의 갑상선기능저하증에는 다음 증상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운 없음 -지속적으로 피곤한 느낌 -변비 -추위에 비정상적으로 민감하며 이런 증상이 점진적으로 발생함 -근육 경련과 강직 -체중증가(식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와 모발의 건조증 -탈모 -목이 쉬거나 허스키한 목소리 -심박수 저하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 증상 갑상선 호르몬은 열과 에너지의 생성에 필수적이므로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경우 온몸의 대사기능이 저하됩니다. 추위를 잘 타게 되며 땀이 잘 나지 않고 피부는 건조하며 창백하고 누렇게 됩니다..
농구선수 출신 방송인 현주엽이 학폭 의혹에 휩싸였습니다. 이에 현주엽은 "개인적인 폭력은 절대 없었다"고 해당 의혹을 직접 부인했습니다. 지난14일에 현주엽의 학폭 의혹이 불거졌다. 폭로자A씨는 '당대 최고의 농구선 H씨의 학폭 진실'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H씨에게 학폭을 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A씨는 H씨가 후배들을 단체 집합시키고 심부름을 시키는 것은 물론 장기판 모서리와 주먹 등으로 폭행하기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학폭 가해자를 현주엽이라고 추측했고, 현주엽의 개인 유튜브 채널 댓글 사용이 중지되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의혹이 제기된 날 현주엽 선수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직접 해명했습니다. 그는 30년 전인 학창시절 농구팀의 주장으로서 후배들에게 얼차려를 준 적은 있었다고 고백..
원인 갑상선 호르몬이 체내에 부족하게 되는 원인은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와 뇌에서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생겨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95%이상이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며, 원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원인 중 70~85%는 자가면역성 만성 갑상선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 시 갑상선 자체에서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이 줄어듭니다. 그 외 수술이나 방사성 요드 등의 치료로 갑상선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절제했거나 파괴시킨 경우에도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생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의 장애가 속합니다. 갑상선에 있어서 T3, T4 합성과정의..